본문 바로가기

뉴스들

쓰던 번호로 선불요금제 이용한다

출처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20711480459123&outlink=1

후불형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쓰던 번호 그대로 선불형 요금제로 갈아 탈 수 있는 길이 열린다.

7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이동통신 서비스 번호이동성에 관한 고시' 개정을 내달 중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방통위는 8일 업계 실무자들을 소집해 '이동전화 번호이동 전담반 회의'를 갖고 선·후불 요금제간 번호이동에 따른 기술적 검토에 착수할 예정이다. 
선불형 요금제는 한달 사용요금이 다음달 청구되는 후불형과 달리, 선불카드 등을 통해 요금을 미리 낸 만큼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상이동통신(MVNO) 사업자는 물론 이동통신사도 자체적인 선불 요금제를 운영 중이다.

선불형 요금제는 한때 가계 통신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으나, 선후불간 번호이동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서비스 확산에 발목이 잡혀왔다.

가령, 현재 후불제 이동전화 가입자들이 선불 요금제로 갈아탈 경우, 기존에 쓰던 번호를 버리고 별도의 선불형 국번호가 기재된 새 전화번호를 받아야했다. 여기에 가입절차가 복잡하다는 것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전세계 휴대전화의 60% 정도가 선불 요금제를 사용할 정도로 보편화됐지만, 한국의 경우, 국내 거주 외국인 등 고작 2~3%만 사용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선·후불간 번호이동제가 본격 시행되면, 후불형 요금제 사용자들이 쓰던 번호 그대로 선불형 요금제를 쓸 수 있게 돼, 자녀 휴대폰을 비롯한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동통신업계는 이같은 선후불 요금제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선불 요금제 가입자들이 극소수에 불과한 상황에서 이를 위한 전산 시스템 변경 작업을 추진하기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일이 소요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관계자는 "일본 등 일부 국가만 제외하고 대부분 선·후불 요금제 번호이동을 허용하고 있다"며 "선후불 번호이동에 따른 국내외 망 구성도를 확인한 결과, 이를 위한 시스템 변경작업이 그다지 어렵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8일 열릴 이동전화 번호이동 전담반 회의에서는 해외의 선후불 번호이동 관련 망 현황 사례를 소개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이를 토대로 공청회 등을 거쳐 이르면 내달 중 고시 개정안을 마련하는 한편, 업계의 시스템 변경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연내 시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선·후불 요금제 번호이동 시스템 변경작업이 마무리되면 3G 이동통신과 와이브로 서비스간 번호이동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